목록분류 전체보기 (5268)
시대정신
헌재 토트넘은 프리미어리그 4위. 물론 경기 수가 차이나서 사실상 이미 5위권으로 밀려나있다고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긴 합니다. 썰들에 따르면 전 바이에른 뮌헨 감독이었고 현재 볼프스부르크를 맡고 있는 니코 코바치에게 접근을 했는데 코바치가 계약 준수는 본인의 원칙이라고 하면서 거절을 했다고 하더군요. 현재 토트넘 감독직과 연결되는 사람들은 나겔스만, 데 제르비, 포체티노, 엔리케, 아르네 슬롯 정도. 이 상황에서 콘테를 경질한 후 토트넘은 스텔리니 체제로 잔여 시즌을 이어갈 수도 있다고 일단 발표를 했습니다. 물론 시즌 도중에 감독 선임하는게 쉽지는 않지만 개인적으로는 굉장히 의아한 움직임들이기도 합니다. 먼저 콘테와 관계가 저렇게 안 좋았다면 진작에 차기 감독 접촉을 해봤어야 하는게 맞았습니다. 갑..
무디스는 29일 SK하이닉스의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기업 신용등급은 Baa2로 유지했다. 무디스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메모리칩 산업이 전례 없는 침체를 겪는 가운데 SK하이닉스는 올해 예상보다 훨씬 더 많은 수준의 부채를 부담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무디스에 따르면 올해 SK하이닉스의 감가상각 전 영입이익(EBITDA)은 약 5조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해 21조원에서 급감한 수치다. 반면에 SK하이닉스의 차입금 규모는 지난해 말 27조원에서 올해 말 33조원 수준으로 5조원 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른 EBITDA 대비 차입금 비율은 지난해 1.3배에서 올해 6.0배 이상 수준으로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무디스는 "SK..

김민재는 싸울일 있으면 앞에서 지르라는 스타일이고, 손흥민은 저격 인스타 올리는거 보면 어떤 성격인지 보이네요. 저런 성격은 상극이라 잘 안맞아요. 그냥 인간으로서 싫어지는 스타일임

손흥민은 보이는 이미지는 매우 인싸스럽고 경기장에선 동료를 향해서도 짜증과 불만을 온얼굴로 표현하고 반대로 기뻐하기도 하고 솔직한 성격처럼 보이지만 공식석상에선 절대적으로 흡잡힐 말자체를 안하는 스타일입니다. 인터뷰 스킬이 매우 좋고 항상 자신은 겸손 + 상대는 존중하거나 높이는 스탠스에 말만 하는 스타일이죠. 그리고 직설적인 표현도 거의 안하는 편이구요. 여타 선수들끼리 어울리는 프래그램이나 이벤트 공개된거보면 이런면과는 다르게 확실히 인싸쓰럽고 더 말도 편하고 장난도 많이치고 친한사이는 좀 쎄게 말하기도 하는데 공식적인 공간이라고 보이는곳에선 정말 절대적으로 조심스러운 스타일입니다.(성격과 별개로 인터뷰 스타이라만 보면 박지성이랑비슷하죠.)어릴때 국대차출로 아버지가 직설적으로 불만 표현 했을때도 손흥..
민재 원래 예전부터 말 잘하는 스타일도 아니고 당연 피곤해서 그런가보다하고 말실수 본인이 다시 인터뷰해서 뻘소리 안하고 잘못 인정 할거라도 생각했고 민심 당연 다시 돌아 온다고 생각 했음 근데 손흥민 언팔(?) 이건 좀 거시기하네여..크흠...이건 할말이 없음ㅡㅡ
지가 생각해도 당선되기 힘들어 보였는데, 떡하니 당선 되었으니 국민 수준 잘 이해 한 것이겠죠? 국민 수준에 맞는 대통령 뽑았나 싶습니다. 그리고 뻔히 알면서도 저런 자를 대통령이 되게 만든 잊지 못 할 이낙연 이준석 심상정 안철수
기축통화의 위엄이랄까? 미국 중소형 은행들 뱅크런으로 전세계가 긴장하는군요. 문제는 부실원인이 미연준의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인한.. 안전자산으로 여겨졌전 미국채가 똥값되어서 생긴것이고요. 문제는 실리콘밸리은행뿐만 아니라 다른은행도 비슷한 상황이라는거죠. 이 위기가 진정 안되면... 2008년 금융위기급은 아니겠지만 금융위기도 올 수 있겠네요. 안전자산인 미국채가 부실의 원인이 된 이상 미연준도 앞으로 금리인상도 꽤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아보이고요. 참 지금 다이나믹하게 돌아가는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