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시대정신

유동성 위기 두산 '알짜' 인프라코어까지 내놨는데…시장 반응은 "글쎄" 본문

비즈니스

유동성 위기 두산 '알짜' 인프라코어까지 내놨는데…시장 반응은 "글쎄"

hkjangkr 2020. 6. 16. 17:01
반응형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두산그룹이 경영정상화 일환으로 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까지 시장에 매물로 내놨다. 하지만, 투자업계 등 시장 안팎에선 인수·합병(M&A) 성사 가능성에 대체로 물음표를 달고 있어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6일 복수의 금융투자업계(IB) 관계자는 두산그룹이 최근 두산인프라코어 매각 작업에 착수한 것과 관련해 “코로나19 사태라는 리스크도 있지만, 매물 자체의 시장 가치에 대한 의문도 많이 있다”라고 공통된 의견을 밝히며 “덩치에 비해 매각가 1조원대를 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조심스레 진단했다.

앞서 두산그룹은 크레디트스위스(CS)를 매각 주간사로 선정하고, 두산인프라코어 매각 작업에 착수한 상태다. 이번에 매물로 나온 두산인프라코어는 건설기계와 엔진을 만드는 중공업그룹 두산그룹의 대표 계열사다. 시가총액은 약 1조3000억원이며, 매각 가격은 지분 36.27%와 경영권 프리미엄 등을 더해 약 8000억원 안팎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매각 대상은 두산중공업이 보유한 두산인프라코어 지분 36.27%다. 두산인프라코어가 보유한 두산밥캣 지분 51.05%는 매각 대상에서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두산그룹이 두산인프라코어 매각 시도를 통해 경영 정상화 의지를 채권단 등에 보여줄 수 있겠지만, 성사 가능성에는 물음표가 따라붙고 있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사실 두산인프라코어의 전체 경영권을 넘기는 것도 아니고, 시장성이 높아 알짜로 꼽히는 두산밥캣 지분도 빠져 있어 매력이 다소 떨어지는 게 사실”이라고 평가했다.

KB증권은 정동익 연구원도 이날 “지난해 건설기계 연결 영업이익의 62.9%를 차지했던 두산밥캣을 분리할 경우, 두산인프라코어는 매물로서 매력이 떨어진다”면서 “단시일 내 매각이 성사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판단한다”라고 내다봤다.

앞서 두산그룹은 지난 4월 채권단에 자산매각, 제반 비용 축소 등 자구노력을 통해 3조원 이상을 확보하겠다는 자구안을 제출한 바 있다. 이에 시장 안팎에선 두산솔루스·두산인프라코어·두산밥캣·두산타워 등이 매물 후보로 지속적으로 거론되어 왔다.

반응형
Comments